본문 바로가기

요런저런

사주, 육신의 개념

반응형

생년월일시(生年月日時) => 

사주팔자 : 

음양오행(陰陽五行)17), 

십천간(十天干), 

십이지지(十二支地),

육십갑자(六十甲子), 

오행(五行), 

상생상극(相生相剋), 

십성(十星)


명리학

연월일시를 간지화한 사주와 팔자로 구성

월주를 기준으로 대운을 만들어 사주를 간명체계를 완성한다.

육신은 일간과 다른 오행의 생극작용과 음양의 차이에 의해 만들어진다.

일간(日干)이란 생년,생월,생일,생시의 사주 중에서 생일의 천간(天干)글자를 말한다.


일간은 사주명리에서 바로 자신,즉 나(我)라 한다.

상생,상극 관계를 살펴보면 일간이 생을 받는 경우,

일간이 생을하는 경우,일간이 극을 받는 경우,일간이 극을 하는 경우,

일간과 같은 오행인 경우의 다섯 가지 관계가 있는데,이를 음양으로 나누어 10가지로 구분한것을 십성(十星)이라 한다.


육신(六神)에는 비견(比肩),겁재(劫財),식신(食神),

상관(傷官),편재(偏財),정재(正財),편관(偏官),정관(正官),편인(偏印),정인

(正印)이 있다.비견과 겁재를 묶어서 비겁(比劫),식신과 상관을 묶어서 식상

(食傷),편재와 정재를 묶어서 재성(財星),편관과 정관을 묶어서 관성(官星)

또는 관살(官殺),편인과 정인을 묶어서 인성(印星)이라고 한다.다음은 육신

(六神)을 정하는 방법이다.


비견(比肩):일간과 오행이 같고 음양이 같은 것.

겁재(劫財):일간과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것.

식신(食神):일간이 생하여 주는 것으로 음양이 같은 것.

상관(傷官):일간이 생하여 주는 것으로 음양이 다른 것.

편재(偏財):일간이 극하는 것으로 음양이 같은 것.

정재(正財):일간이 극하는 것으로 음양이 다른 것.

편관(偏官):일간을 극하는 것으로 음양이 다른 것.


장 점 / 단 점

주체성이 강하고 신중하며 강건

하며 용감하며 말과 행동이 일치

한다

.

고집스럽고 맹목적인 자존심이 될

수 있고 사고방식의 유연성이 부

족하다.


자존심이 강하고 진취적이며 모

험을 좋아하며 경쟁심이 강해서

지는 것을 아주 싫어한다.


사사로운 개인의 이익에 집착하며

종종 무모한 일을 벌일 수가 있

다.


깊이 연구를 하며 한 가지 일에

몰두하고 오직 목적을 위해 앞으

사회성이 결여로 세상과 더불어

살아가는 기능이 약하고 한곳에

로 나아가는 성분이다.

집중하므로 통솔하여 이끌기가 어

렵다.


경쟁적이고 상황판단이 민첩하

다. 보스적인 기질이 있어 아랫

사람에게 잘한다. 자신의 의견

이나 능력을 표현하는 기능이 강

하다.


변덕스러운 면이 있으며 지나친

경쟁심이나 감정이 앞서기 때문에

깊은 사고력이 떨어진다.


공간통제성과 순간적인 판단과

과감한 결정력이 뛰어나다.

경제관념이 희박하고 즉흥적인 일

처리를 한다.


현실에 민감하고 경제 감각이 탁

월하며 계산이 빠르고 분명하다.

재물욕심이 많고 낭만이 없으며

육체에 지나친 애착을 가질 수 있

다.


인내심이 강하며 그릇이 크고 사

회적 책임감이 강하다.자신에게

엄하고 암기력이 좋다.

너무 원칙적이라 사교성이 부족해

서 대인관계에 약하다.


책임감과 합리적인 사고방식을

하며 자신의 사욕을 자제한다.

다수의 이익을 위해 소수를 버릴

수 있으며,다소 우유부단 하는

경향도 있다.


탁월한 직감력과 복잡한 것을 단

순화 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

부정적 수용심리로 인해 폐쇄적이

고 염세적인 성향을 보여서 현실

감이 부족하다.


상황판단이 정확하며 있는 그대

로 남의 얘기를 잘 수용하는 편

으로 정이 많다.

지나치게 수동적인 성향을 나타날

수 있으며 주변의 눈치를 살피는

경우가 있다.


식상생재유형에는 식신생편재,식신생정재,상관생편재,상관생정재

식상견관유형에는 식신극정관,식신극편관,상관극정관,상관극편관

재극인유형에는 정재극정인,정재극편인,편재극정인,편재극편인

인나식유형에는 정인극식신,정인극상관,편인극식신,편인극상관

재생관유형에는 편재생정관,편재생편관,정재생정관,정재생편관



[사주유형과 자기이해의 관계성 연구, -육신을 중심으로 -, 석사논문, 이 승 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