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T의 **CodeBox-B.T.S(CodeBox – Build Train Serve)**는 KT에서 개발한 온프레미스 AI 코딩 어시스턴트 솔루션입니다
이 솔루션은 민감한 데이터를 외부로 반출하지 않고도 기업 내에서 안전하게 AI 기반 코딩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독립형 어플라이언스입니다.
1. 개요 및 특징
제품명 | CodeBox-B.T.S (Build · Train · Serve) |
공급처 | KT AI/BigData 사업부 |
유형 | AI 코딩 어시스턴트 독립형 어플라이언스 |
목적 | AI 기반 자동코딩 / 프라이빗 환경 내 사용 |
사용환경 | 온프레미스 구축 가능 – 클라우드 이용 불가한 환경에서도 사용 |
지원기능 | 자연어 기반 코드 생성코드 리뷰 및 오류 수정자동 주석 생성테스트코드 자동 생성 |
주요 타겟 | 공공기관금융기관보안 민감 산업군 |
2. 기술 구성 요소
CodeBox-B.T.S는 내부적으로 다음과 같은 모듈로 구성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LLM Engine | Fine-tuned GPT 계열 모델 또는 자체 개발 모델 (PyTorch 기반 추정) |
Prompt Engine | Prompt Template 및 사용자 질의 전처리 처리 |
Code Analysis Engine | 기존 코드 구조 파악 및 AST 기반 분석 |
IDE 연동 | VSCode / JetBrains IDE 플러그인 제공 |
보안/감사 | 로깅, 인증, 내부망 통제 등 기업 요구에 맞춘 기능 내장 |
독립형 AI 코딩 어플라이언스 개발 방안
이제 KT의 CodeBox-B.T.S와 유사한 온프레미스 AI 코딩 어시스턴트를 개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설명드리겠습니다.
1. 시스템 아키텍처 구성
┌─────────────────────────────┐
│ 사용자 PC / IDE (VSCode, IntelliJ) │
└──────────────┬──────────────┘
│ REST API (HTTPS)
┌──────────────▼──────────────┐
│ 온프레미스 AI 코딩 서버 (Dockerized Appliance) │
├──────────────────────────────┤
│ ① Prompt Processor (Flask/FastAPI) │
│ ② Code Generator (LLM API - GGML, Ollama) │
│ ③ Secure Logger / Access Control │
│ ④ Embedding / Vector DB (e.g., FAISS) │
└──────────────────────────────┘
2. 기술 스택 제안
구성요소 기술 제안
LLM 모델 | Code LlamaStarCoderPhi-3 / DeepSeekCoder (GGUF, Ollama, 또는 LM Studio 기반 배포) |
Front/API 서버 | FastAPI + Uvicorn (Python) |
Code 분석기 | Tree-sitter + AST Parser (언어별 커스텀) |
Vector 검색 | FAISS 또는 Qdrant |
인증/보안 | JWT 기반 인증 + 내부망 인증 서버 연동 (AD/LDAP) |
IDE 연동 | VSCode ExtensionJetBrains Plugin |
어플라이언스 패키징 | Docker Compose / K8s + NVIDIA GPU 지원 (ONNX 또는 CUDA 가속) |
3. 개발 단계별 플랜
단계 주요 작업 도구
1단계 | 오픈소스 LLM 성능 비교 및 선정 | CodeLlama, StarCoder2, WizardCoder 등 |
2단계 | Prompt Template 설계 및 API 서버 개발 | FastAPI, LangChain |
3단계 | 기존 코드 기반 Embedding 및 유사 코드 검색 | FAISS + Huggingface embedding |
4단계 | VSCode Plugin 개발 (자동 완성, 주석 등) | TypeScript + VSCode API |
5단계 | 모델 경량화 및 GPU/CPU 환경 분리 배포 | GGUF 포맷, Ollama or vLLM |
6단계 | 보안/내부 감사 로깅 구축 | ELK stack, 내부 인증 연동 |
7단계 | 최종 어플라이언스 포장 및 문서화 | Docker, Ansible |
4. 주요 기능별 구현 아이디어
🔹 자연어 → 코드 생성
# 사용자 요청: "MySQL에 연결하고 SELECT 쿼리 실행하는 파이썬 코드 작성해줘"
prompt = f"### Task: {user_input}\n### Language: Python\n### Code:"
llm.generate(prompt)
🔹 코드 리뷰 및 개선
- Tree-sitter 기반으로 코드 AST를 분석하고, 리뷰할 항목(Python PEP8, Java PMD 등) 추출 후 개선 제안
🔹 테스트 코드 자동 생성
# 입력 코드 분석 후 pytest 기반 테스트 코드 자동 생성
test_template = f"### Given the following code:\n{code_snippet}\n### Write unit tests:"
llm.generate(test_template)
5. 모델 Fine-tuning or Instruction Tuning (선택)
- Huggingface Datasets + LoRA 사용
- 코드 도메인 지식 포함 데이터셋 활용
- StackOverflow / GitHub Issues / Google OSS / 회사 자체 코드 DB
- 보안 이슈 때문에 외부로 나가지 않고 fine-tune만 내부 GPU 서버에서 실행
🧠 추천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고
프로젝트 설명
CodeGeeX | 다국어 지원 코딩 모델 |
StarCoder | 고성능 코드 특화 LLM |
Continue | VSCode 연동 오픈소스 AI 코딩 보조기 |
Cursor | 자체 LLM과 연동된 AI IDE 환경 |
KT의 CodeBox-B.T.S는 “온프레미스 + LLM + IDE 통합”이라는 트렌드를 잘 반영한 독립형 AI 코딩 어시스턴트입니다.
비슷한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다음이 핵심입니다:
- 경량화된 고성능 코드 특화 LLM을 선정하고
- IDE와의 연동성을 확보하며
- 내부망 보안 요건을 반영한 프라이빗 온프레미스 아키텍처를 설계해야 합니다.
- LLM 성능 비교표
- VSCode 플러그인 예제
- Docker 기반 샘플 배포 구성
반응형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환경에서 동작하는 로컬 AI 코드 생성 도구 (0) | 2025.07.11 |
---|---|
AI 기반 독립형 코딩 어시스턴트 어플라이언스 구축 (0) | 2025.07.11 |
Windows 11 + RTX 4080 환경에서 Wan 2.1 설치 가이드 (1) | 2025.07.07 |
Windows 11 환경에서 RTX 4080 GPU를 사용하여 WAN (Wide-Area Network)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해 이미지를 동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 (2) | 2025.07.07 |
설치 (0) | 2025.06.28 |